[ProxmoxVE] 네트워크 설정하기 - 1) 기본 설정(공유기 연결 및 고정IP 설정)
1. Proxmox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종류
1.1. enp2s0 (물리 NIC)
- enp2s0 는 e: Ethernet, n: Network Device, p2: PCI 2번 슬롯에 연결된 장치, s0: PCI 슬롯 내의 0번 장치를 뜻합니다.
- 즉, enp2s0는 Deskmini B760 본체 후면에 LAN 포트를 뜻합니다.
1.2. vmbr0 (가상 네트워크 브릿지)
- vmbr0 는 proxmox 설치시 기본으로 생성되는 가상 네트워크 브릿지 인터페이스 입니다.
- vmbr0는 기본적으로 가상머신(VM) 이나 컨테이너(LXC)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가상 네트워크 브릿지를 사용합니다.
- [공유기] --- [DeskMini LAN 포트(물리 NIC)] --- [vmbr0] --- [VM or LXC] 구조로 설정하면 VM이나 LXC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합니다.
2. 공유기와 연결하기
동일한 공유기에 연결된 타 PC에서 Proxmox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Proxmox의 vmbr0 가상 인터페이스가 공유기로부터 IP를 할당받아야 합니다. Proxmox는 서버로 이용되기에 IP는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 IP를 사용해야합니다.
일단 다른 PC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공유기로부터 자동으로 IP를 할당 받는 과정을 안내합니다.
2.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파일 수정
1) vi /etc/network/interfaces 를 입력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을 엽니다.
root@pve:~# vi /etc/network/interfaces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을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auto lo
iface lo inet loopback
auto enp2s0
iface enp2s0 inet manual
auto vmbr0
iface vmbr0 inet dhcp # 브리지가 DHCP로 IP 자동 할당
bridge_ports enp2s0 # 물리 NIC enp2s0 연결
bridge_stp off
bridge_fd 0
3) 위와 같이 설정하게 되면 enp2s0는 vmbr0로 바로 데이터 전송하여 vmbr0가 공유기에서 자동으로 IP를 할당받습니다.
2.2.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1)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root@pve:~# systemctl restart networking.service
2) 재시작이 완료되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아이피가 할당되었는지 확인합니다.
root@pve:~# ip addr
3) vmbr0에 정상적으로 IP가 할당됐으면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 (할당된 IP : 192.168.0.2)
10: vmbr0: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noqueue state UP group default qlen 1000
link/ether 00:e0:4c:68:02:7e brd ff:ff:ff:ff:ff:ff
inet 192.168.0.2/24 brd 192.168.0.255 scope global vmbr0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fe80::2e0:4cff:fe68:27e/64 scope link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2.3. 다른 PC에서 접속 확인
1) vmbr0에 IP가 할당됐으면 다른 PC에서 웹 인터페이스 접속합니다. 저는 192.168.0.2 이므로 다른 PC 브라우저에서 192.168.0.2:8006 을 입력하여 접속합니다.
2.4. 공유기 DHCP 설정으로 Proxmox VE 고정 IP 설정
1) 웹 화면이 정상적으로 출력이 되면 정상적으로 공유기와 연결이 되었지만 고정 IP를 설정을 위해 공유기 관리자 화면에 접속해줍니다.
2) 각 공유기별로 DHCP 설정이 있는데 들어가서 Proxmox의 IP를 찾아서 해당 MAC주소를 등록하여 고정할 IP를 할당해줍니다.
2.5. 네트워크 설정파일 고정 IP 수정 및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1) 다시 Proxmox로 돌아가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파일도 고정된 IP로 변경해줍니다.
auto lo
iface lo inet loopback
auto enp2s0
iface enp2s0 inet manual
auto vmbr0
iface vmbr0 inet static # IP 고정
address 192.168.0.2 # Proxmox 서버 고정 IP
netmask 255.255.255.0 # 서브넷 마스크
gateway 192.168.0.1 # 공유기 IP
bridge_ports enp2s0 # 물리 NIC enp2s0 연결
bridge_stp off
bridge_fd 0
2)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하여 변경한 IP가 잘 할당 되었는지 다른 PC에서 잘 접속 되는지 확인합니다.
root@pve:~# systemctl restart networking.service
root@pve:~# ip addr
위와 같이 설정이 끝났으면 기본 네트워크 세팅은 완료되었습니다.
3.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조회
ip link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별 아이피 조회
ip addr
# 특정 인터페이스만 조회 (예시 : eth0 인터페이스)
ip addr show enp2s0
# 특정 인터페이스 up/down (켜기/끄기)
ip link set enp2s0 up
ip link set enp2s0 down
# 라우팅 테이블 확인
ip route
# 네트워크 이름과 상태만
ip -br addr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 위치
/etc/network/interfaces
끝.
다음 글에서는 개인화 설정(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명 수정) 방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2025.01.12 - [Proxmox VE] - [ProxmoxVE] 네트워크 설정하기 - 2) 개인화 설정
[Proxmox] 네트워크 설정하기 - 2) 개인화 설정
[Proxmox] 네트워크 설정하기 - 2) 개인화 설정이번 글에서는 USB 랜카드 연결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명 사용자 정의 등 개인화 설정 관련하여 다룹니다.1. USB LAN 카드 연결NAS와 LAN으로 연결해 NFS(Netw
devitamin.tistory.com
'Proxmox 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moxVE] Proxmox VE 웹 관리 콘솔 간단하게 살펴보기 (0) | 2025.01.12 |
---|---|
[ProxmoxVE] 네트워크 설정하기 - 2) 개인화 설정 (0) | 2025.01.12 |
[ProxmoxVE] Proxmox VE 설치하기 (0) | 2025.01.12 |
[ProxmoxVE] DeskMini B760+i7-14700T로 Proxmox VE 환경 구축 - 3) BIOS 설정 (0) | 2025.01.12 |
[ProxmoxVE] DeskMini B760+i7-14700T로 Proxmox VE 환경 구축 - 2) BIOS 업데이트 (0) | 2025.01.12 |